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 45기 또 발사... 저궤도 스타링크만 5581대, 우주 공해 문제는 관심밖인가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2. 16. 10:56
일론머스크가 이끄는 우주항공산업 기업 스페이스X가 지난 7일과 8일, 스타링크 위성 45기를 추가로 발사했다. 이번에 발사된 스타링크 위성은 최근 우리나라 군사위성을 쏘아올린 것과 동일한 발사체인 팔콘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쏘아 올려졌다. 스페이스X는 지난 7일 스타링크 위성 V2 mini 23기를 발사한데 이어, 8일 동일한 스타링크 위성 V2 mini 22기를 추가로 발사해 단 이틀만에 45기의 스타링크 위성을 추가했다. 이번에 쏘아올린 스타링크 위성들은 무사히 궤도에 안착했다고 스페이스X는 보고했다. 스타링크 위성은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위한 위성으로, 섬이나 정글과 같은 곳에서도 공간의 제약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지원되어 화제를..
-
북한 만리경-1호 위성 우주궤도 안착, 우리나라도 자체 개발한 정찰용 군사위성 발사해 맞대응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2. 11. 09:48
12월 2일, 우리나라가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자체 개발한 정찰위성을 스페이스X의 우주발사체 '팰컨9'에 탑재해 발사했고 지상과 교신을 성공했다. 앞서 북한은 11월 21을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쏘아올린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우주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버지니아주 노포크해군기지를 촬영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와 북한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정찰위성을 쏘아올리면서 서로간의 견제 범위가 우주까지 확대되었다. 북한의 만리경-1호는 우리나라의 펠컨9에 비해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만 북한이 핵미사일 공격 목표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견제가 필요하다. 만리경-1호는 하루에 우리나라 상공을 3회 돌며 우리나라를 감시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정찰위성은 북한의 동향 ..
-
달 형성의 미스테리 밝혀낼 물질이 맨틀에 존재한다... 테이아 거대충돌설의 근거가 될 고밀도 물질 지대 발견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2. 8. 09:29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는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미스테리입니다. 그나마 가장 유력한 가설로는 지구가 탄생한 지 약 2억년 정도가 지났을 때 지구의 절반 정도 질량을 갖는(과학자마다 10%질량이라는 주장도 있고, 지구보다도 컸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테이아'라는 천체가 충돌하면서 수많은 암석 파편이 형성되었으며, 이 파편들이 뭉쳐 현재의 달이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이를 '거대충돌설'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가설로만 여겨졌던 거대충돌설의 근거가 될 자료가 나타났습니다. 최근 지구물리학자들은 아프리카 아래의 맨틀 기저부에서 지진파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게 이동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 크기가 대륙에 버금갈 정도로 거대했는데요. 지진파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주변보다 밀도가 높을 물질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처음 과..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은하단 형성의 비밀을 밝혀줄 초 거대 그물 구조 발견하다.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2. 2. 19:18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자리를 잡은 후 보내오는 사진들은 매일매일 우주 과학사를 바꾸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이번에도 우주의 비밀을 풀 또 하나의 열쇠를 보내왔는데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큰곰자리에서 거대한 그물 구조를 발견했습니다. 이 그물 구조의 폭은 약 66만 광년, 질량은 태양의 2600억 배에 달합니다. 우리은하의 지름이 약 10만 광년임을 감안할 때 얼마나 거대한 규모인지 실감이 됩니다. 이 그물 구조는 원시 은하단으로 보이는데요. 아직 타원 은하나 나선 은하와 같은 규칙적인 형태를 갖추기 전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즉, 은하단(은하의 집단)이 형성되기 이전의 모습이라는 것이죠. 이 그물 그조의 거리는 약 110억 광년으로, 빛의 속도로 110억 년 동안 달려야 도달할 수 있는 ..
-
Gemini South 천문대, 초거대 블랙홀 품은 두 나선 은하 충돌 포착... 우리 은하의 미래를 보여주는 주요한 지표 될 것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21. 13:14
Gemini South 망원경이 두 나선 은하의 충돌 모습(NGC 7727)을 포착했습니다.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10억광년 떨어져있는데요. 즉, 우리는 10억년 전 일어난 두 은하의 충돌 모습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두 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형 블랙홀이 서로 가까워져 하나의 쌍성(두 개의 별이 서로를 공전하는 형태)을 이루고 있는 모습도 함께 포착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 쌍은 현재까지 발견된 블랙홀 쌍성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깝습니다. Gemini South 천문대에서 발견된 충돌 은하는 두 개의 나선 은하가 충돌한 것입니다. 나선 은하는 원래 두 개의 나선팔을 양쪽에 가지고 있지만, 두 은하가 충돌하면서 중력교란으로 인해 사진은 마치 타원 은하와 비슷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두 은..
-
천체망원경 구매 팁 - 천체망원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배율, 집광력, 분해능'이란?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15. 21:54
오늘은 천체망원경의 성능 배율, 집광력, 분해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체망원경을 구매할때 주의깊게 봐야하는 요소로 배율과 집광력, 분해능을 고려해서 구입하면 실패가 없을 것입니다. 먼저 배율부터 알아봅시다. 배율이란 '물체를 얼마나 크게 확대시켜 주는가'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배율이 크면, 당연히 상이 더 크게 보입니다. 아래에 두개의 달 사진이 있습니다. 왼쪽이 낮은배율, 오른쪽이 높은배율입니다. 아무래도 배율이 크면 별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어요. 단, 망원경을 처음 접해보시는 분들이 많이 하시는 실수가 배율만 보고 좋은 망원경이다 판단하는건인데... 실은 망원경에서 배율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아닙니다. 망원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대물렌즈는 교체가 불가능하지만..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목성의 더 빠른 제트기류 발견하다.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14. 07:47
2021년에 발사되어 올해 초 궤도에 안착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높은 해상도와 밝은 사진을 보내오고 있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목성의 새로운 사진을 촬영해 지구로 보내왔다. 이전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더 세밀하고 저온의 영역까지 관측이 가능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이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목성은 목성의 아름다우면서 무시무시한 대기의 모습을 더 정교하게 보여준다. 우리에게 흔히 알려진 목성의 모습은 가로로 수많은 줄무늬와 하단에 대적점이라고 하는 거대한 소용돌이가 있는 모습이다. 목성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구와 달리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이며, 자전속도가 매우 빨라 바람이 매우 세차다. 때문에 이러한 바람이 마치 지구에서 폭풍이 왔을 때 구름의 모습처럼 줄무늬로 보이는 것이다. 이전까..
-
2025년, 토성의 고리가 사라진다... 토성 고리 기울기 각도 점점 줄어, 2030년 쯤 다시 드러나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11. 09:46
아른다운 고리로 유명한 태양계의 6번째 행성 '토성'. 토성의 고리는 보급형 망원경으로도 쉽게 관측될 만큼 그 크기가 크고 아름답습니다. 토성표면으로부터 고리 끝까지의 거리가 거의 140,000km에 육박해요. 참고로, 지구의 반지름이 약 6,400km이니까 토성의 고리가 얼마나 큰지 짐작이 되시지요? 그 웅장한 자태에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시켜주었을 때 가장 많은 탄성이 나오는 천체도 달과 더불어 토성이었습니다. 이런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가 곧 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토성의 고리는 얇은 원반 모양으로, 암석이나 얼음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말 얇은 쟁반을 떠올려 보죠. 쟁반을 살짝 기울였을 때에는 쟁반의 넓은 면이 보여 눈에 잘 띠지만, 쟁반을 시선방향과 나란하게 두면 얇은 옆면만 보여 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