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도 12궁과 별자리 - 내 생일은 여름인데, 별자리는 겨울에 볼 수 있다?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17. 3. 20. 21:41728x90
황도 12궁과 별자리
- 내 생일은 여름인데, 별자리는 겨울? -
여러분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저는 1월생으로 염소자리입니다. 그렇다면 염소자리가 1월의 별자리니깐, 1월에 볼수 있겠죠?
그러나! 1월에 밤하늘의 염소자리를 아무리 찾아봐야 찾을 수 없습니다.
감쪽같이 사라진 염소자리는 여름이 되서야 밤하늘에 나타나는데요.
왜! 1월의 별자리가 여름에 나타나는 것일까요?
자 그 전에, 별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별자리는 아주 많습니다. 오리온자리도 있구요, 북두칠성도 별자리죠.
하지만, 이들은 12개의 별자리에는 포함되지 않죠?
어떤 기준으로 12개의 별자리를 골랐을까요?
기준은 바로, 태양에 있습니다.
매일 정오에 태양이 떠있는 지점을 찍습니다.
1년동안 이 과정을 반복하면, 하늘에 라인이 하나 생기겠죠?
이것이 태양이 지나는 길, 바로 '황도'입니다.
실제적으로, 태양은 움직이지 않죠.
하지만, 지구가 움직이기 때문에, 지구 입장에서는 태양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밤엔 별이 뜹니다. 별은 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그 자리에 있습니다.
단지 태양빛이 너무 밝아 안보이는 것 뿐이죠.
태양과 달리, 별은 1년동안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데요.
태양과 마찬가지로 별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실제는 아주 빠르게 움직이지만, 지구에서 볼땐, 너무 멀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태양도 가만히 있지만, 지구가 움직여서 하늘을 지난다 했는데,
왜 별은 안움직인다 하는 것일까요?
그 핵심은 '거리'에 있습니다.
태양도 물론 지구에서 아주 멀지만,
별은 그보다 비교도 되지않을 만큼 훨씬 더 멉니다.
지구와 태양까지 거리가 1억 5000km, 빛의 속도로 약 8분거리 인데반해,
별은 수~ 수만광년(광년 : 별이 1년동안 가는 거리)에 이르죠.
위 그림은 12월과 6월의 지구-태양, 지구-별 의 위치관계를 간략하게 그려본것입니다.
6개월동안 태양은 정 반대방향으로 이동했죠. (지구 기준으로 봤을때)
반면에, 별은 지구에서 봤을때, 각도차이가 얼마 나지 않죠.
지구 입장에서 봤을때, 태양의 각도가 180도 변하는 동안 별은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 별이 멀먼 멀수록 각도는 더 작아질 것이고, 결국 지구에서 봤을때 움직이지 않는것으로 보이게 되는거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정오에 태양이 떠있는 곳 뒤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별이 있겠죠?
이 별을 이달의 별자리로 지정한것입니다.
즉, 1월(정확히 1월 21일) 낮 12시에 태양을 보면 그 뒤에 염소자리 별자리가 있는것이죠.
자, 이제 왜 생일에 자기 별자리를 볼 수 없는지, 대충 이해가 가시나요?
실제론 뜨지만, 태양빛이 너무 밝아 볼 수 없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내 별자리는 언제 볼 수 있을까요?
낮에는 아래 그림처럼 보이지 않겠죠?
별을 보려면 밤이 되야겠네요.
하지만, 1월에 저녁이 되면 관찰자는 태양 반대쪽을 바라보게 되고,
그러면 1월의 별자리는 보이지 않겠죠.
방법은 하나!
지구가 아래그림처럼 태양 반대쪽으로 오면 됩니다.
이렇듯, 자기 별자리를 보려면 6개월이 지나 지구가 공전을 하여
지구가 태양을 등졌을때, 별자리를 바라보는 위치로 와야합니다.
따라서, 내 별자리가 1월의 별자리(염소자리)일때,
이 별자리는 6개월 후인, 여름밤에 볼 수 있게 되는 거죠.
자 이젠, 자기 별자리를 어느 계절에 볼 수 있을지 찾아볼 수 있겠죠?
내 별자리가 쌍둥이자리(6월)라면, 겨울밤에,
내 별자리가 물고기자리(3월)이라면, 가을밤에 볼 수 있겠네요.
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계 인공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고 알고 싶다면 유용한 사이트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0) 2023.10.10 스페이스X에 이어 인공위성 이용한 인터넷 공급 진출하는 아마존 - 포화상태 우주, 우주공해 현실되나 (0) 2023.10.10 절대 관측할 수 없다던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벌써 12개나 발견했다 - 미세 중력 렌즈 현상과 외계 행성의 발견 (0) 2023.10.05 혜성이 행성에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 태양계 최초의 혜성 충돌 관측 사례 '슈메이커-레비9' 목성 충돌 사건 (0) 2023.09.19 [기후변화의 요인] 세차운동 - 13000년 후 우리나라, 여름은 더워지고 겨울은 추워진다 (0)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