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 인공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고 알고 싶다면 유용한 사이트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0. 10. 10:40728x90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사이트는 현재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상공에 있는 인공위성의 종류, 국적, 기능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도별·국가별 인공위성 수, 관련예산 등 인공위성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정지궤도위성의 서편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 https://interactive.hankookilbo.com/v/satelliteviewer/index.html
지구에서 발사된 물체가 지구를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속도가 되면 인공위성이 되어 지구를 회전하며 궤도를 만든다. 이때 일반적으로 타원 궤도가 만들어진다. 궤도는 높이에 따라 2,000㎞ 미만인 궤도를 저궤도라고 하며, 2,000㎞에서 3만 6,000㎞ 사이를 중궤도, 그리고 3만 6,000㎞를 정지궤도라고 한다. 정지궤도에서는 지구를 일주하는 데 하루가 걸린다. 즉, 지구의 자전과 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것이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 위성을 보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정지궤도위성은 지상과 24시간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위성, 기상위성, 방송위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응형
한국일보 인공 위성 추적 뷰어 사이트는 정지궤도위성과 이동위성의 움직임을 모두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에 따른 정지궤도위성의 서편현상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운용중인 인공위성은 청록색,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은 붉은색으로 표시되는데, 수만은 붉은색 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우주쓰레기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기도 한다. 수많은 붉은색 점이 전부 폐기된 인공위성이라는 점에서 우주쓰레기 문제가 먼 미래가 아님을 일깨우게 한다.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쪽 하늘의 샛별, 태양계 2번째 행성 '금성'을 보름달과 같이 볼 수 없는 이유 (0) 2023.11.10 명왕성 얼음 화산 발견, 표면은 차갑지만 뜨거운 마그마에 의해 지하에 액체 상태의 물 있을 가능성 (0) 2023.11.06 스페이스X에 이어 인공위성 이용한 인터넷 공급 진출하는 아마존 - 포화상태 우주, 우주공해 현실되나 (0) 2023.10.10 절대 관측할 수 없다던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벌써 12개나 발견했다 - 미세 중력 렌즈 현상과 외계 행성의 발견 (0) 2023.10.05 혜성이 행성에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 태양계 최초의 혜성 충돌 관측 사례 '슈메이커-레비9' 목성 충돌 사건 (0)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