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혜성이 행성에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 태양계 최초의 혜성 충돌 관측 사례 '슈메이커-레비9' 목성 충돌 사건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9. 19. 12:59728x90
혜성이 지구와 같은 행성에 부딛히면 어떻게 될까? 이는 과학계의 큰 관심사였습니다. 주로 고체물질로 이루어진 소행성과 달리 오르트 구름에서 출발한 혜성은 물, 얼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 다양한 액체, 기체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태양 근처에 접근했을 때 긴 꼬리를 형성하기도 하죠. 하지만 태양계에 접근하는 혜성은 태양계 내에서도 풍부하게 존재하는 소행성에 비해 그 빈도가 적어 행성과의 충돌을 직접 관찰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1994년 드디어 혜성의 행성 출돌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바로 '슈메이커-레비9'이란 혜성이 목성에 충돌한 것이죠.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입니다. (태양은 행성이 아니라 항성) 목성의 적도반지름은 7만 1400km로, 지구반지름 6400km의 11배가 넘습니다. 질량은 317배, 부피는 무려 1320배인 거대한 천체에요.또한 지구는 대부분 암석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목성은 기제로 이루어진 행성입니다.70% 이상의 수소와 20% 이상의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죠. 이것은 태양과 매우 흡사한 비율인데요. 이 때문에 목성이 제2의 태양이 되었을 수도 있었다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반응형
목성도 토성처럼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망원경으로 봤을때 토성과 달리 고리가 전혀 보이지 않는데요. 그것은 목성의 고리가 매우 얇기 때문입니다. 지구에서 보기 힘듬만큼, 1979년에서야 무인우주탐사선인 보이저 1호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갈릴레이가 목성의 4대 위성을 1610년에 발견한 것에 비교하면 정말 늦은거죠.
1994년 과학계는 이 고리로 인해 떠들썩했습니다. 바로, '슈메이커-레비9' 혜성이 목성과 충돌한 것인데요. '슈메이커-레비9'혜성은 1993년 슈메이커부부와 레비에 의해 발견되어 그의 이름이 붙여진 것입니다. 혜성은 얼음과 암석등으로 이루어진 물체인데요, 주기적으로 태양계를 왔다갔다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얼음으로 이루어진 긴 꼬리인데요. 이것은 태양풍으로 인해 생성됀 것으로, 태양의 반대쪽에 생성돼며,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커집니다. '슈메이커-레비9'은 직경이 1~2km정도 돼는 혜성으로 발견된지 약 1년 후인 1994년 목성과 충돌하게 됩니다.
목성은 어마어마한 질량으로, 중력이 매우 강합니다. '슈메이커-레비9'은 이 중력이 이끌려 목성으로 돌진하게 되는데요. 목성의 강한 인력에 의해 21개의 조각으로 분해됩니다. 이 21개의 조각은 목성의 대기와 차례로 충돌하게 되는데요. 이 충돌은 목성의 표면에 거대한 점들을 만듭니다. 충돌하는 표면이 지구의 반대편이라 직접관측은 불가능 하였지만, 목성이 자전하면서 충돌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났습니다. 이 자국은 약 1주일 정도 지속된후 사라졌다고 하네요.
'슈메이커-레비9'은 목성의 표면에만 그 흔적을 남긴것이 아니라, 고리에도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혜성이 목성의 고리를 지나면서 그 간섭으로 인해 고리에 물결같은 파동이 생성된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혜성자체의 중력과 파편들에 의한 충격으로 생성되는데요. 이 목성의 파동은 2009년 카시니호가 보낸 사진을 분석하여 미국 코넬대 연구진이 발견하였습니다. 정말정말 아주 최근이죠. 이 파동은 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수십년 후에는 파동이 소멸된다고 합니다.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계 인공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고 알고 싶다면 유용한 사이트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0) 2023.10.10 스페이스X에 이어 인공위성 이용한 인터넷 공급 진출하는 아마존 - 포화상태 우주, 우주공해 현실되나 (0) 2023.10.10 절대 관측할 수 없다던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벌써 12개나 발견했다 - 미세 중력 렌즈 현상과 외계 행성의 발견 (0) 2023.10.05 [기후변화의 요인] 세차운동 - 13000년 후 우리나라, 여름은 더워지고 겨울은 추워진다 (0) 2023.09.14 황도 12궁과 별자리 - 내 생일은 여름인데, 별자리는 겨울에 볼 수 있다? (0) 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