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만리경-1호 위성 우주궤도 안착, 우리나라도 자체 개발한 정찰용 군사위성 발사해 맞대응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2. 11. 09:48728x90
12월 2일, 우리나라가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자체 개발한 정찰위성을 스페이스X의 우주발사체 '팰컨9'에 탑재해 발사했고 지상과 교신을 성공했다. 앞서 북한은 11월 21을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쏘아올린 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우주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버지니아주 노포크해군기지를 촬영했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 펠컨9 우주발사체로 쏘아올린 한국 독자 정찰위성 1호기
우리나라와 북한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정찰위성을 쏘아올리면서 서로간의 견제 범위가 우주까지 확대되었다. 북한의 만리경-1호는 우리나라의 펠컨9에 비해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만 북한이 핵미사일 공격 목표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견제가 필요하다. 만리경-1호는 하루에 우리나라 상공을 3회 돌며 우리나라를 감시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우리나라의 정찰위성은 북한의 동향 감시가 주용도이다. 일론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제작한 펠컨9을 우주발사체로 연결해 발사에 성공했다. 이는 우리나라의 첫 군사위성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정찰위성 1호기는 북한의 만리경-1호와 비교할 때 성능이 월등하다.
한국 최초의 군사정찰위성 1호기
정찰위성의 경우 지표의 얼마나 작은 크기까지 식별이 가능한지가 주요 성능 지표가 되는데, 최대 1m급으로 알려진 북한 만리경-1호에 비해(즉, 만리경-1호는 지상에서 1m 미만 크기의 물체는 식별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의 정찰위성 1호기는 30cm크기의 물체도 식별할 수 있다. 국방부는 우리나라의 정찰위성 성능이 세계 5위권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그동안 미국에 의존해웠던 북한의 위성사진을 직접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728x90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 45기 또 발사... 저궤도 스타링크만 5581대, 우주 공해 문제는 관심밖인가 (0) 2023.12.16 달 형성의 미스테리 밝혀낼 물질이 맨틀에 존재한다... 테이아 거대충돌설의 근거가 될 고밀도 물질 지대 발견 (2) 2023.12.08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은하단 형성의 비밀을 밝혀줄 초 거대 그물 구조 발견하다. (1) 2023.12.02 Gemini South 천문대, 초거대 블랙홀 품은 두 나선 은하 충돌 포착... 우리 은하의 미래를 보여주는 주요한 지표 될 것 (1) 2023.11.21 천체망원경 구매 팁 - 천체망원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배율, 집광력, 분해능'이란? (1)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