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TV 속 과학] 무빙(2023) - 어떻게 버스 벽에 부딪히지 않고 떠 있을 수 있을까투데이 사이언스/미디어 속 과학 2023. 9. 12. 21:21
※ 본 포스팅 내용에는 드라마의 스포가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관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용으로, 관성 외에 다른 물리적 법칙은 생략하였습니다. 무빙 15화에는 봉석이와 희수를 쫒아 계도(차태현)의 버스에 올라탄 준화(양동근)의 내용을 담았다. 버스를 운행하던 중 이상한 낌새를 느낀 계도는 다른 승객들이 타고 있음에도 버스의 속도를 높이고 이리저리 난폭하게 운전하면서 룸미러로 준화를 감시한다. 이때, 준화가 공중에 부양하면서, 이리저리 흔들리는 다른 승객들과 달리 제자리에 서서 계도를 바라본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든다. 준화는 현재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고, 버스는 빠른 속도로 앞으로 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공중에 떠 있는 준화는 버스 뒤로 날아가 부딛혀야 하지 않을까? 이는 관성이라는 물리적 성질로부..
-
노을이 질 때 태양이 붉게 보이는 이유, 낮에는 파란 하늘이 왜 붉어질까투데이 사이언스/지구와 환경 2023. 9. 11. 13:30
요즘 해가 짧아 지면서 저녁 7시면 서쪽부터 하늘이 붉게 물들기 시작한다. 한낮의 하늘과는 다르게 태양은 붉게 불타오르고, 주변 하늘은 빨간색부터 보라색, 노란색 시시각각 다채로운 색을 뽐낸다. 하늘이 파란 이유에 대해 물어보면 다양한 대답이 나온다. 바닷물이 파랗기 때문에 바닷물에 반사되어서, 하늘이 파란색 빛만 통과시키기 때문에 등등. 정답은 빛의 산란에 있다. 우리가 평소에 보는 태양 빛은 하얗게 보이지만, 사실 빨, 주 ,노, 초, 파, 남, 보 다양한 색이 합쳐진 형태이다. 각각의 색은 파장으로 구분되며, 빨간색으로 갈 수록 파장이 길고, 보라색으로 갈 수록 파장이 짧다. 편의상 빨간색 계열, 파란색 계열로 구분한다. 이러한 색을 볼 수 있는 자연현상이 바로 무지개이다. 낮의 하늘은 매우 파랗다..
-
[영화 속 과학]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2004) - 부표 순서에도 과학이 숨어있다.투데이 사이언스/미디어 속 과학 2023. 9. 8. 23:04
2004년작 재난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는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과학적 원리가 잘 스며든 완성도 높은 스토리로 현재까지도 대표적인 과학 영화로 손꼽힌다. 아마도, 학창시절 과학시간에 한 번 쯤을 보셨을 듯 싶다. 그만큼 과학적 원리를 잘 반영하여 만든 영화이다. 지구온난화, 태풍의 눈, 토네이도 등 다양한 지구과학 요소를 볼 수 있는데, 무신코 넘어갈 수 있는 부분까지도 세심하게 과학적 원리를 적용한 게 돋보인다. 영화 초반에 영국 해상 기상관측부표가 이상반응일 일으키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상반응을 일으키는 부표의 순서에도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다. 영국 기상관측소는 북대서양의 수온을 측정하는 부표에 이상을 감지한다. 한개의 부표에서 평소보다 7도가량 낮은 수온이 관측된..
-
요즘 핫한 알뜰폰, 이유는... 비싼 5G요금제 반감, 프로모션 경쟁까지투데이 뉴스/MOBILE 2023. 9. 7. 22:44
한동안 주춤하던 알뜰폰의 인기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높은 5G요금에 비해 지지부진한 커버리지 면적, 알뜰폰 업체의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으로 SK, KT, U+등 메이저 통신사와 비교해 가성비가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메이저 통신사도 알뜰폰 업체를 자회사로 운영하고 있긴 하다.) 최근 알뜰폰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초저가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다. 대부분 프로모션 형태로 5~12개월간 요금을 할인해주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할인율이 매우 크다. 일부 알뜰폰 통신사는 통신비, 유심비, 가입비까지 모두 없는 0원 요금제를 선보이기도 한다. 프로모션 요금제보다는 가격이 소폭 높지만, 평생 요금걱정 없는 무약정요금제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 LTE 무제한 요금제 기준, 3~4만원대 평생요금제를 선보이고..
-
아이폰 광학줌 가능해지나...아이폰15 프로에 탑재되는 잠망경 렌즈란투데이 뉴스/애플 2023. 9. 6. 20:03
애플 아이폰15 시리즈가 9월 12일에 공개될 예정이다. 게시일 기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아 여기저기 아이폰15의 예상스펙이 올라오고 있다. 가장 주목받고 있는 변화로는 유럽 충전규격 통일로 인한 라이트닝포트 삭제와 usb-c타입 충전포트 지원이다. 또한, 카메라 부분에서는 아이폰15프로에 아이폰 시리즈 중 처음으로 잠망경 렌즈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잠망경 렌즈란 무엇일까? 잠망경은 아마 어린시절 한번쯤은 가지고 놀았을 것 같다. 주로 잠수함이나 참호 안에서 밖을 볼때 사용하는 잠망경은 거울의 반사를 이용해 머리를 내밀지 않고 밖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그런 잠망경이 아이폰에 왜 쓰일까 싶지만, 이는 카메라의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장치이다. 잠망경은 구조상 빛의 뱡향을 2번 90도로..
-
[영화 속 과학] '오펜하이머(2023)' - 핵분열 연쇄반응과 핵발전투데이 사이언스/미디어 속 과학 2023. 9. 5. 22:04
영화 오펜하이머는 핵개발프로젝트를 맡은 천재과학자 오펜하이머의 여생과 고난의 모습을 담은 영화이다. 오펜하이머를 보면 핵분열을 연구하던 중 중성자를 이용해 핵을 분열시키는 방법을 다른 과학자가 먼저 찾게 되었고, 오펜하이머와 동료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이같은 연구가 사실임을 확인한다. 한편, 핵이 분열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성자가 다시 발생하게 되고, 이 중성자로 인한 연쇄반응을 우려한다. 핵발전소(원자력발전소)는 바로 이 연쇄반응을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핵발전소에서는 우라늄235에 중성자를 강하게 충돌시킨다. 그렇게 되면 우라늄235는 크립톤과 바륨이라는 원소로 쪼개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가 발생하고, 우리는 이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라늄235가 핵분열될 때,..
-
모토로라 폴더블폰 '레이저40' 국내 출시, 갤럭시Z플립5 영향은 미미할 듯투데이 뉴스/MOBILE 2023. 9. 5. 21:53
모토로라가 국내에 신작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무려 폴더블폰이다. (모토로라는 지난해 11년만에 국내에 '모토 G50'등 4종의 스마트폰을 정식 출시한 바 있다.) 모토로라의 신제품 '레이저40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플립 시리즈와 동일하게 길쭉한 화면이 반으로 접히는 클램쉘형 폴더블 스마트폰이다.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갤럭시Z플립(또는 폴드) 시리즈가 독주하고 있는 국내 시장에 폴더블 스마트폰의 선택권이 넓어진 것이다. 모토로라 레이저40은 여러모로 갤럭시Z플립5와 비교될 수밖에 없다. 모토로라 레이저40의 외관은 갤럭시Z플립5와 매우 유사하다. 큼지막한 3.6인치 외부 액정이 눈에 띠고, 모토로라 스마트폰의 시그니처와 같은 레이저 시리즈의 쨍한 컬러를 그대로 담았다. 스마트폰을 접었을 때 두께..
-
한국 세계 1등 품목 전세계 3위, 삼성 쏠림은 해결해야 할 문제투데이 뉴스/삼성 2023. 9. 4. 21:10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조사한 2022 주요 상품의 점유율 조사 결과 한국이 전체 70개 품목 중 총 6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해 미국, 중국에 이어 일본과 공동 3위에 올랐다. 지난 해 한국이 5개 품목, 일본이 7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한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중국에 내줬던 조선 1위를 재탈환하며 한 품목을 늘렸고, 일본은 마이콘 부분의 1위를 미국에 내주며 1위 품목이 한 개 감소했다. 더욱이 이 조사가 일본에서 이루어진 만큼 우리나라의 순위 상승은 더욱 크게 눈에 띤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반도체, OLED, 조선, D램, 낸드플래시, 초박형TV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첨단기술 강국인 한국의 위상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반면, 일본은 자동차, 디지털카메라, 이미지센서 등 전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