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쪽 하늘의 샛별, 태양계 2번째 행성 '금성'을 보름달과 같이 볼 수 없는 이유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10. 11:16728x90
우리는 해가 뜨기 직전 아침에 동쪽 하늘에서 해보다 먼저 뜨는 밝은 별을 '샛별'이라고 부릅니다. 사실, 이 샛별은 태양계의 2번째 행성인 '금성'인데요. 아침에 동쪽 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은 샛별, 해가 진 직후에 서쪽 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을 옛 선조들을 키우던 개가 밥을 달라고 할 때쯤 뜬다 하여 '개밥바라기'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한 밤중에 뜨는 금성은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한 밤에 뜨는 금성은 있을 수 없으니까요. 금성은 내행성입니다. 즉, 지구보다 태양에 가까운 궤도를 공전하죠. 이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한밤중에 보인다는 뜻은 금성이 태양의 반대편에 있다는 것인데, 내행성의 특성상 이는 불가능하죠.
728x90
이를 응용하여 만약, 보름달 근처에 밝은 천체(흔히 별이라고 부르겠지만 별이 아닌) 하나가 보인다면 그것은 금성일 가능성이 '없습니다.' 가능성이 적은 것도 아니고 아예 ZERO!
반응형
달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반사해 우리눈에 보이게 됩니다. 달이 보름달처럼 완전한 원형으로 보이기 위해서는 태양-지구-달 순서대로 배치되어야 하죠. 즉, 달이 보름달일때, 달은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합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금성은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이 절대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보름달과 함께 보이는 밝은 천체는 절대 금성일 수 없습니다. 다만, 달이 태양과 멀지 않은 방향에 있는 초승달과 그믐달 즈음에는 밝은 금성과 달을 같이 볼 수도 있겠군요.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목성의 더 빠른 제트기류 발견하다. (0) 2023.11.14 2025년, 토성의 고리가 사라진다... 토성 고리 기울기 각도 점점 줄어, 2030년 쯤 다시 드러나 (0) 2023.11.11 명왕성 얼음 화산 발견, 표면은 차갑지만 뜨거운 마그마에 의해 지하에 액체 상태의 물 있을 가능성 (0) 2023.11.06 전세계 인공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고 알고 싶다면 유용한 사이트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0) 2023.10.10 스페이스X에 이어 인공위성 이용한 인터넷 공급 진출하는 아마존 - 포화상태 우주, 우주공해 현실되나 (0)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