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토성의 고리가 사라진다... 토성 고리 기울기 각도 점점 줄어, 2030년 쯤 다시 드러나투데이 사이언스/우주, 미지의 세계 2023. 11. 11. 09:46728x90
아른다운 고리로 유명한 태양계의 6번째 행성 '토성'. 토성의 고리는 보급형 망원경으로도 쉽게 관측될 만큼 그 크기가 크고 아름답습니다. 토성표면으로부터 고리 끝까지의 거리가 거의 140,000km에 육박해요. 참고로, 지구의 반지름이 약 6,400km이니까 토성의 고리가 얼마나 큰지 짐작이 되시지요? 그 웅장한 자태에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시켜주었을 때 가장 많은 탄성이 나오는 천체도 달과 더불어 토성이었습니다.
이런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가 곧 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토성의 고리는 얇은 원반 모양으로, 암석이나 얼음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말 얇은 쟁반을 떠올려 보죠. 쟁반을 살짝 기울였을 때에는 쟁반의 넓은 면이 보여 눈에 잘 띠지만, 쟁반을 시선방향과 나란하게 두면 얇은 옆면만 보여 눈에 잘 띠지 않을 것입니다. 토성의 고리도 그렇습니다.
반응형
토성의 고리는 현재 지구의 시선방항에 9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토성 고리의 기울기가 2025년 거의 0도에 근접에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는 시선방향과 토성의 고리가 일치하여 생기는 잠깐의 현상일 뿐, 이후 토성 고리의 기울기는 다시 점점 커져 2030년 쯤 20도 각도를 회복해 오히려 지금보다도 더 넓고 선명하게 보일 것이라고 하네요.
728x90728x90'투데이 사이언스 > 우주, 미지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망원경 구매 팁 - 천체망원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배율, 집광력, 분해능'이란? (1) 2023.11.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목성의 더 빠른 제트기류 발견하다. (0) 2023.11.14 동쪽 하늘의 샛별, 태양계 2번째 행성 '금성'을 보름달과 같이 볼 수 없는 이유 (0) 2023.11.10 명왕성 얼음 화산 발견, 표면은 차갑지만 뜨거운 마그마에 의해 지하에 액체 상태의 물 있을 가능성 (0) 2023.11.06 전세계 인공위성의 위치를 추적하고 알고 싶다면 유용한 사이트 '한국일보 인공위성 추적 뷰어' (0)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