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만원대 보급형 스마트폰 비교, 갤럭시온7 2016 vs 갤럭시J5 2017투데이 리뷰/삼성 2017. 11. 17. 23:10728x90
엑시노스7870 탑재 스마트폰 비교
- 갤럭시온7 2016 vs 갤럭시J5 2017 -
삼성 갤럭시온7 2016과 갤럭시J5 2017 실사용 비교 포스팅입니다. 둘 모두 엑시노스7870 AP를 탑재한 모델인데요. 엑시노스 7870 AP는 삼성전자가 작년 하반기부터 보급형 스마트폰에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AP로, 스냅드래곤400시리즈와 같은 보급형 포지션의 AP이지만, 성능이 뛰어나 퍼포먼스 면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는 AP입니다. 출고가는 갤럭시온7이 399,300원, 갤럭시J5 2017이 344,300원으로 갤럭시J5가 약간 저렴하지만, 갤럭시온7의 출시일이 반년정도 앞서 그사이 출고가 인하로 인해 현재 일부 통신사에서 두 모델의 출고가가 동일한 경우도 있습니다.
갤럭시온7 2016은 지난해 하반기 출시된 스마트폰으로, 화면크기는 5.5인치이며 블랙과 골드 두가지 컬러가 있습니다. 반면 갤럭시J5 2017은 올해 중반 출시된 보급형 스마트폰으로 스카이블루, 핑크, 블랙 세가지 컬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면 크기는 5.2인치로 갤럭시온7 보다 약간 작습니다. 전면 디자인은 갤럭시온7이 좀 더 각져 있네요. 갤럭시J5 2017은 갤럭시A5 2017과 전면에서 볼때는 홈버튼을 제외하고 거의 구별이 힘들 정도로 상당히 유사한 디자인입니다.
두 제품 모두 지문인식센서가 내장된 홈버튼을 적용했는데요. 홈버튼 디자인과 인식률이 거의 비슷해 같은 세대 센서로 추정됩니다. 메뉴와 뒤로가기키는 두 제품 모두 백라이트가 없습니다.
다만 갤럭시J5 2017은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한 삼성페이를 내장하고 있죠. 갤럭시J 시리즈에서는 처음으로 삼성페이가 내장된 모델이라 출시전부터 꽤나 주목을 받은 바 있습니다. 과거 플래그십 스마트폰에만 탑재되던 삼성페이를 이제 30만원대 보급형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갤럭시온7 2016은 삼성페이가 내장되어있지 않는데요. 중국에서 출시한 동일모델에는 삼성페이가 내장되어 있어 국내 역차별 논란이 있기도 했습니다. 삼성페이는 없지만 해상도와 램은 갤럭시온7이 갤럭시J5 2017을 앞섭니다. 갤럭시J5 2017이 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2GB램을 탑재한 반면, 갤럭시온7 2016은 이보다 조금 높은 풀HD 해상도 디스플레이와 3GB램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갤럭시온7의 화면 픽셀이 갤럭시J5 2017보다 조금 더 촘촘한데요. 확실히 갤럭시J5 2017은 도트와 자글거림이 조금 나타나는 반면, 갤럭시온7은 훨씬 매끄러운 화면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색감차이가 상당히 심해요. 갤럭시J5 2017은 상당히 진한 색감을 보여주었는데요. 조금 과하다 싶을 정도로 채도가 높아요. 반면 갤럭시온7은 물빠진 듯한 연한 색감이 특징인데, 이것도 또 너무 과하다 싶을 정도로 채도가 약합니다. 둘을 딱 반반 섞어놓으면 딱 좋을 것 같네요.
갤럭시온7과 갤럭시J5 2017은 모두 2.5D 글래스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전면 좌우에 곡률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덮는 액정보호필름을 찾기가 어려웠는데요. 사진상으로는 갤럭시J5 2017의 좌우 베젤이 더 좁아보이지만, 이너베젤이 들어가 있어 실제로 봤을때는 두 제품 사이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보급형 스마트폰이지만 공통적으로 풀메탈 소재가 적용되었습니다. 갤럭시온7은 절연띠가 없죠? 대신 상하단이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습니다.
하단에 마이크로 5핀 충전포트와 이어폰잭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속충전을 지원하진 않습니다. 배터리용량은 갤럭시온7이 3300mAh, 갤럭시J5 2017이 300mAh로, 갤럭시온7이 약간 더 많지만 상대적으로 화면크기도 더 크고 해상도도 더 높기 때문에 연속사용시간은 비슷한 수준입니다. 배터리 효율이 둘 다 상당히 좋아요. 영화 한편 보는데 20~25% 정도가 소모됩니다.
독특한게 하단이나 뒷면이 아닌 우측 사이드에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데요. 바닥에 놓아도 스피커가 막히지 않고, 옆으로 눕혀 잡았을 때 소리가 좌우 한쪽이 아니라 화면 위쪽에서 나오기 때문에 균형이 잘 맞습니다. 하지만 눕혀 잡았을 때 왼손 검지가 딱 오는 위치인 것은 좀 아쉽습니다.
몇일 전 갤럭시온7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데이트가 제공되었죠? 갤럭시온7은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로 처음 출시된 바 있습니다. 그간 판올림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안한다 말이 많다가 11월 업데이트를 확정지었는데, 생각보다 빠르게 업데이트가 제공되었습니다. 한편 갤럭시J5 2017은 처음부터 안드로이드 누가 버전으로 출시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한차례 정도 판올림 업데이트가 더 제공되지 않을까 합니다.
갤럭시온7 2016과 갤럭시J5 2017은 30만원대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퍼포먼스도 뛰어나고 어느 한 곳 빠지지 않는 실속있는 스마트폰이었습니다. 세대를 아우르고 두루 추천해도 만족할 만 하네요. 주요 포인트는 삼성페이 vs 대화면과 높은 해상도 정도로 보면 될 것 샅습니다. 엑시노스7870 탑재 삼성 보급형 스마트폰 2종 비교 포스팅이었습니다.
728x90'투데이 리뷰 > 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고 저렴하고 예쁘다, 삼성 갤럭시J3 2017 블루실버 개봉기 (0) 2018.06.03 가성비 최고! 오늘 개통한 따끈따끈 삼성 갤럭시J7 2017 블랙 후기 (0) 2017.11.21 누가 업데이트 한 김에 써보는 갤럭시온7 2016 실사용 후기 (0) 2017.11.14 삼성 갤럭시J5 2017 실사용 후기, 쓰면 쓸수록 놀라운 보급형폰의 도약 (8) 2017.09.02 삼성 갤럭시J5 2017 vs LG X400 비교 - 지문인식 탑재한 보급형 스마트폰 (0) 2017.08.09